본문 바로가기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 요약

반응형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 요약

사에서 다시 웹접근성에 대한 이야기가 화두가 되었다.

 

전에도 정리 해봤지만 한번 더 상기시키기 위해  다시 정리해본다.

 

 

 

 

 

웹 문서를 설계함에 있어 고려해야 하는 사이트 이용자 유형 

 

- 시각을 통해 정보를 인지할 수 없는 시각 장애가 있는 경우


- 청각을 통해 음향 정보를 인지하지 못하는 청각 장애가 있는 경우


- 신경계의 마비, 근골격계의 마비 또는 선천성 기형 등으로 신체의 움직임에 제한이 있는 지체 장애가 있는 경우


- 읽기나 문장 이해력이 떨어지는 언어 장애가 있는 경우


- 키보드나 마우스를 사용할 수 없는 장애가 있는 경우


- 시각, 청각 또는 손을 사용하고 있어 해야 하는 일을 할 수 없는 경우

 

- 운전 중이거나 소음이 많은 곳에서 일하는 경우 등 장애라기보다는 웹 사용자가 처한 환경에 따라 제한 받는 경우

 

 

 

표준의 구성 및 범위

 

가. 원칙(Principle): 웹 접근성의 근간을 이루는 것으로, 다음과 같이 4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시되는 원칙에 맞추어 웹 콘텐츠를 제작하면, 기술적인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모든 사용자가 웹 콘텐츠의 내용을 동등하게 인식하고,

자신에게 적합한 방법으로 이를 운영하여 이해할 수 있게 된다.

  1. 인식의 용이성(Perceivable): 모든 콘텐츠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2. 운용의 용이성(Operable):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요소는 조작 가능하고 내비게이션할 수 있어야 한다.
  3. 이해의 용이성(Understandable): 콘텐츠는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4. 견고성(Robust): 콘텐츠는 미래의 기술로도 접근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만들어야 한다.

 

 나. 지침(Guideline): 각각의 원칙은 지침으로 구성되며, 이들 지침은 웹 제작자가 웹 콘텐츠를 제작할 때 웹 접근성을 준수하기 위하여

완수해야 하는 기본적인 목표이다. 본 표준에서는 총 13개의 지침을 제시하였다.

 


 다. 검사 항목(Requirement): 각 지침별로 웹 접근성 준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시한 검사 항목을 말한다.

검사 항목은 웹 콘텐츠상에 해당 검사 항목이 적용되는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로 한정된다.

즉, 해당 검사 항목을 적용할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검사 항목은 만족한 것으로 간주한다.

 

본 표준에서는 총 22개의 검사 항목을 제시하였다.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 요약

 

 

  1. 인식의 용이성(Perceivable): 모든 콘텐츠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1. (대체 텍스트) 텍스트 아닌 콘텐츠에는 대체 텍스트를 제공해야 한다.
      • (적절한 대체 텍스트 제공)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는 그 의미나 용도를 이해할 수 있도록 대체 텍스트를 제공해야 한다.
    2. (멀티미디어 대체 수단) 동영상, 음성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해할 수 있도록 대체 수단을 제공해야 한다.
      • (자막 제공) 멀티미디어 콘텐츠에는 자막, 원고 또는 수화를 제공해야 한다.
    3. (명료성) 콘텐츠는 명확하게 전달되어야 한다.
      • (색에 무관한 콘텐츠 인식) 콘텐츠는 색에 관계없이 인식될 수 있어야 한다.
      • (명확한 지시 사항 제공) 지시 사항은 모양, 크기, 위치, 방향, 색, 소리 등에 관계없이 인식될 수 있어야 한다
      • (텍스트 콘텐츠의 명도 대비) 텍스트 콘텐츠와 배경 간의 명도 대비는 4.5대 1 이상이어야 한다.
      • (배경음 사용 금지) 자동으로 재생되는 배경음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2. 운용의 용이성(Operable):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요소는 조작 가능하고 내비게이션할 수 있어야 한다.
    1. (키보드 접근성) 콘텐츠는 키보드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 (키보드 사용 보장) 모든 기능은 키보드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 (초점 이동) 키보드에 의한 초점은 논리적으로 이동해야 하며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2. (충분한 시간 제공) 콘텐츠를 읽고 사용하는 데 충분한 시간을 제공해야 한다.
      • (응답 시간 조절) 시간 제한이 있는 콘텐츠는 응답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 (정지 기능 제공) 자동으로 변경되는 콘텐츠는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3. (광과민성 발작 예방) 광과민성 발작을 일으킬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아야 한다.
      • (깜빡임과 번쩍임 사용 제한) 초당 3~50회 주기로 깜빡이거나 번쩍이는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아야 한다.
    4. (쉬운 내비게이션) 콘텐츠는 쉽게 내비게이션 할 수 있어야 한다.
      • (반복 영역 건너뛰기) 콘텐츠의 반복되는 영역은 건너뛸 수 있어야 한다.
      • (제목 제공) 페이지, 프레임, 콘텐츠 블록에는 적절한 제목을 제공해야 한다.
      • (적절한 링크 텍스트) 링크 텍스트는 용도나 목적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한다
  3. 이해의 용이성(Understandable): 콘텐츠는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1. (가독성) 콘텐츠는 읽고 이해하기 쉬워야 한다.
      • (기본 언어 표시) 주로 사용하는 언어를 명시해야 한다.
    2. (예측 가능성) 콘텐츠의 기능과 실행결과는 예측 가능해야 한다.
      • (사용자 요구에 따른 실행)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기능(새 창, 초점 변화 등)은 실행되지 않아야 한다.
    3. (콘텐츠의 논리성) 콘텐츠는 논리적으로 구성해야 한다.
      • (콘텐츠의 선형화) 콘텐츠는 논리적인 순서로 제공해야 한다.
      • (표의 구성) 표는 이해하기 쉽게 구성해야 한다.
    4. (입력 도움) 입력 오류를 방지하거나 정정할 수 있어야 한다.
      • (레이블 제공) 입력 서식에는 대응하는 레이블을 제공해야 한다.
      • (오류 정정) 입력 오류를 정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야 한다.
  4. 견고성(Robust): 웹 콘텐츠는 미래의 기술로도 접근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만들어야 한다. 
    1. (문법 준수) 웹 콘텐츠는 마크업 언어의 문법을 준수해야 한다.
      • (마크업 오류 방지) 마크업 언어의 요소는 열고 닫음, 중첩 관계 및 속성 선언에 오류가 없어야 한다.
    2. (웹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웹 애플리케이션은 접근성이 있어야 한다.
      • (웹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준수) 콘텐츠에 포함된 웹 애플리케이션은 접근성이 있어야 한다. 

지침서 다운로드

 

한국형_웹_콘텐츠_접근성_지침_2.0.pdf

 

 

출처 - http://www.wah.or.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