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일주할 때 경주를 방문했습니다.
기대하지 않고 방문했는데, 너무나 이쁜 야경들이 있었기에
정신없이 카메라 셔터만 눌렀었던 기억이 납니다.
특히나, 이 날 날씨가 바람이 쎄지 않아서 그런지 안압지의 반영사진이 제일 마음에 들었었답니다. ㅋㅋ
그 날의 기록을 공개합니다 ㅋ
동궁과 월지(안압지)
매표소에서 티켓을 끊은 뒤 해가 떨어지기 전에 들어갔습니다.
하지만, 다시 나올때는 해가 떨어져서 어두울 때 나왔어요 ㅋ
안압지 서쪽에 위치한 신라 왕궁의 별궁터입니다.
다른 부속건물들과 함께 왕자가 거처하는 동궁으로 사용되면서, 나라의 경사가 있을 때나 귀한 손님을 맞을 때 이곳에서 연회를 베풀었다고 합니다.
신라 경순왕이 견훤의 침입을 받은 뒤, 931년에 고려 태조 왕건을 초청하여 위급한 상황을 호소하며 잔치를 베풀었던 곳이기도 합니다.
신라는 삼국을 통일한 후 문무왕 14년(674)에 큰 연못을 파고 못 가운데에 3개의 섬과 못의 북.동쪽으로 12봉우리의 산을 만들었으며,
여기에 아름다운 꽃과 나무를 심고 진귀한 새와 짐승을 길렀다고 전해집니다.
고려시대의 『삼국사기』에는 임해전에 대한 기록만 나오고 안압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는데,
조선시대 『동국여지승람』에 "안압지의 서에는 임해전이 있다" 라고 기록되어 있어, 현재의 자리를 안압지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일제시대에 철도가 지나가는 등 많은 훼손을 입었던 임해전 터의 못 주변에는 1975년 준설을 겸한 발굴조사에서 회랑지를 비롯해서 크고 작은 건물터 26곳이 확인되었습니다.
그 중 1980년에 임해전으로 추정되는 곳을 포함하여, 신라 건물터로 보이는 3곳과 안압지를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었는데, 그 중 보상화(寶相華) 무늬가 새겨진 벽돌에는
'조로 2년(調露 二年, 680)'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어 임해전이 문무왕때 만들어진 것임을 뒷받침 해주고 있습니다.
대접이나 접시도 많이 나왔는데, 이것은 신라무덤에서 출토되는 것과는 달리 실제 생활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임해전은 별궁에 속해 있던 건물이지만 그 비중이 매우 컸던 것으로 보이며,
안압지는 신라 원지(苑池)를 대표하는 유적으로서 연못 가장자리에 굴곡을 주어 어느곳에서 바라보아도 못 전체가 한눈에 들어올 수 없게 만들었습니다.
이는 좁은 연못을 넓은 바다처럼 느낄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 신라인들의 예지가 돋보인다고 합니다.
관련사이트
경주 문화관광 http://guide.gyeongju.go.kr
문화재청 http://www.cha.go.kr
첨성대
동궁과 월지를 나와 약간 위쪽으로 이동하면 이 첨성대가 보입니다.
뭐~ 워낙에 유명한 건축물이라 어릴 적부터 배웠었지만, 다시 한번 정리해봅니다.
선덕여왕때 세워진 첨성대는 천문관측대로 동양에서 가장 오래 되고 유일한 석조 구조물입니다.
화강암으로 되어 있으며, 규모는 높이 9.17m, 윗지름 3.1m, 아랫지름이 5.17m, 지대석 한 변의 길이가 5.35m입니다.
이중으로 지어진 지대석과 기단은 네모 형태로 8매와 15매의 장대석으로 되어 있고,
그 위에는 27단으로 원통형의 본체를 쌓았는데, 밑은 넓고 위로 갈수록 좁아지다가 윗부분은 수직으로 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사용된 석재 수는 1년을 나타내는 365개이며, 1단의 높이는 약 30㎝ 이다.
정상에는 우물 정(井)자 석이 2단으로 쌓여있는데 이 위에 어떤 관측기를 놓았을 것이라고 추측됩니다.
24절기를 별을 통하여 측정하였고 이 정(井) 자석이 신라 자오선의 표준이 되었으며 동서남북의 방위 기준이 되었다고도 합니다.
현재 동북쪽으로 약간 기울어져 보이나 석조부분만은 원형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매우 보기 드문 유적으로, 국보 제31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대로 그 가치가 높으며, 당시의 높은 과학수준을 볼 수 있는 문화재입니다.
관련사이트
경주 문화관광 http://guide.gyeongju.go.kr
문화재청 http://www.cha.go.kr
마지막 사진은 첨성대에서 보이는 어떤 고분인데...
누구의 무덤인지는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이렇게 보니 고분 야경도 차분하니 멋지네요.ㅋ